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RSA
- git
- 제약조건 제거
- jenkins git ignore file 추가
- docker error
- jstl 종류
- 지속쿠키
- lightsail 도메인 연결
- fk컬럼 삭제
- AES
- Flutter
- rsa 복호화
- 내도메인 한국
- 하이브리드암호화
- 세션쿠키
- springboot 배포
- spring
- springboot3 jstl
- aws lightsail 배포
- aws lightsail
- swap file
- Stored Procedure log
- XSS 예방
- Docker
- rsa java
- jstl dependency
- 하이브리드 암호화
- 스왑 메모리
- 플러터
- aws
- Today
- Total
목록DB&SQL (2)
easycode

테이블을 잘못 생성했을 때, FK 컬럼을 alter table drop foreign key로 삭제하려 하면 삭제되지 않는다. 이럴 땐 아래와 같이 해결하면 된다. 기록용으로 남겨두는 거라 글의 완성도가 미흡할 수 있습니다.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Foreign Key 제약조건명(CONSTRAINT_NAME) 확인 먼저 Foreign Key 제약조건명(CONSTRAINT_NAME)을 확인해야 한다. 1. 테이블 기준 확인하는 명령어 select *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_constraints where table_name = '테이블명';// ''안에 테이블명 작성하기 2. 데이터베이스 기준 확인하는 명렁어 select * from information_schem..

Stored Procedure란? oracle의 스토어드 프로시저는 한 마디로 쿼리문의 집합으로 어떠한 동작을 일괄 처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합니다. 반복적인 작업을 할 경우 PL/SQL* 을 저장해 놓고 필요한 경우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할 때가 있습니다. 이때 스토어드 프로시저(=저장 프로시저)를 사용합니다. stored procudure를 사용하면 복잡한 DML 문들을 필요할 때마다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저장해 둔 프로시저를 호출해서 실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=> 즉, 프로시저(함수) 라는 이름에 걸맞게 일련의 쿼리문을 하나의 함수처럼 만드는 것입니다. 어떤 동작을 해야할 때 일일히 DML문을 다시 입력하는 게 아닌, 해당 프로시저를 호출하면 됩니다! * PL/SQL이란? 더보기 PL..